성명서/논평/보도자료

필터
보도자료
[보도자료]제주환경운동연합 정기총회 열고 올해 사업 확정

제주환경운동연합 정기총회 열고 올해 사업 확정 “하도리습지 보호지역 지정, 기후위기 대응 시민참여 중점 추진”   제주환경운동연합과 부설 전문기관 (사)제주환경교육센터가 지난 2월 2일(금) 정기총회를 열고 2023년 사업을 평가하고, 2024년 사업계획을 확정하며 본격적인 활동에 나섰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지난해 제주에 가장 큰 현안은 제2공항 건설계획이었다고 평가했다. 2023년 시작과 함께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 통과와 기본계획(안)의 의견수렴이 시작되면서 제주지역사회를 혼돈과 갈등으로 밀어 넣었다고 평가했다. 이로 인해 제주 섬의 생태계 위기, 환경 위기가 촉발되고, 도민사회의 갈등은 더욱 노골화되었다며, 제주의 지속가능성도 상당 부분 저해되었다고 덧붙였다. 또한 일본 정부의 핵오염수 해양투기 결정으로 전국민적 반발 속에 일본 정부의 만행을 용인하면서 우리 바다는 물론 국민의 보건과 건강에도 중대한 위협이 되었다고 봤다. 이에 더해 1회용컵 보증금제 등 1회용품 규제의 후퇴가 발생하면서 윤석열 정부가 주도하는 반환경 정책에 의해 제주도가 홍역을 치러야 했다고 평가했다.   이런 상황에 제주도나 제주도의회 역시 특별한 변화를 보여주지는 않았다. 특히 제2공항에 대해 보여준 제주도와 제주도의회의 무력함은 도민사회에 큰 우려를 낳기도 했다. 하지만 제주도의 환경정책에 성과가 없었던 것은 아니었다. 우리 단체가 3년 동안 마을주민들과 공동으로 추진했던 오조리 연안습지 습지보호지역이 지정 고시되는 쾌거가 있었고, 제주남방큰돌고래로 대표되는 생태법인화를 위한 법률개정 작업에 본격적인 첫발을 내딛기도 했다. 제주도의회에 의해 반환경적 개발사업이 멈춰서는 일도 있었다.   하지만 더욱 가속화되는 기후위기, 지속되는 전쟁위기 등 전 지구적 위기가 자국 이익을 우선하는 국제정치로 인해 여전히 참혹한 위기 상황이 지속될 상황이라는 점, 국내적으로는 윤석열 정부의 반환경정책이 변화될 조짐이 보이지 않는다 점 등을 근거로 올해도 환경분야에 어려움은 지속될...

2024-02-05

보도자료
[보도자료]제주환경운동연합 세계 습지의 날 맞아 토론회 개최

제주환경운동연합 세계 습지의 날 맞아 토론회 개최 “오조리~종달리~하도리 철새도래지 벨트,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 관리 해야” “습지 기초 조사 및 정밀 조사 적극 시행하고, 보호정책 마련 서둘러야” 우리 단체는 어제(2월 1일) 오후 2시 제주도의회 도민카페에서 오조리 연안습지 습지보호지역 지정을 기념하여 ‘제주 동부지역 습지 보전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지난해 12월 21일 해양수산부가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 고시한 오조리 연안습지의 체계적인 보전·관리를 위한 방안을 찾고 오조리 연안습지와 인접하여 생태적으로 연결된 종달리와 하도리 철새도래지 벨트를 어떻게 보전하고 관리할 것인지를 논의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사)한국조류보호협회 제주지회 강창완 회장이 동부지역 철새도래지 현황 및 보전 관리방안에 대해 발제를 진행했으며, 이어서 제주환경운동연합 최슬기 생태보전국장이 제주 동부지역 습지 보전 방안에 대한 발표를 이어갔다.   제주 동부지역의 철새도래지의 현황과 보전 관리방안에 대해 발제한 강창완 회장은 제주도가 전국에서 가장 많은 철새가 도래하는 지역으로 우리나라 조류 약 550종의 78%가 제주도를 이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중에서 동부지역이 가장 핵심 지역으로 약 200여종을 관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오조리, 종달리, 하도리로 이어지는 철새도래지 벨트는 철새도래지로서의 우수성은 물론 습지로서 보전해야 할 충분한 가치가 있다며, 한국의 조류 생물다양성을 지키고, 멸종위기 조류의 개체수 복원을 위해서라도 반드시 보호지역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또한 하도리 겨울철새 현황을 설명하며 맑은 물에서 월동하는 알락오리, 홍머리오리가 과거에는 우점했으나 지금은 수질이 안좋은 곳에 사는 물닭과 청둥오리가 우점하고 있다며 하도리 습지의 수질 악화에 대해서도 대책을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이어서 발제에 나선 최슬기 국장은 제주도에 많은 습지가 있고, 습지의 섬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지만 이에 대한 보전은 여전히...

2024-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