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마당
-
2020 제주의 환경을 말한다.
「제주의 환경을 말한다」 책자 pdf 파일 * (오기수정알림) 19페이지 하단 식물표기는 암대극이 아니라 흰대극임을 알립니다.
-
기획연재>사유화된 섭지코지 해안사구
기획연재> 해양생태계의 시작점, 해안사구 사유화된 섭지코지 해안사구 제주환경운동연합 양수남 대안사회국장 이번 세기말까지 전 세계 모래 해변의 절반이 사라진다는 보고서가 나올…
-
기후변화로 인한 제주생태계의 변화
기후변화는 이미 우리의 생활 속으로 들어오기 시작했다. 제주 해안 중 일부 지역에서 해수면 상승으로 물에 잠기지 않던 곳이 잠기기 시작했다….
-
제주도의회,제2공항 도민공론화 특위 구성
제주도의회의 도민공론화 청원에 따른 특위 구성을 환영한다! – 청원 취지에 입각해 도민공론화 및 다양한 의견들을 종합적으로 검토 추진하라 – 제주특별자치도의회는…
-
김완병의 제주의 새 이야기(물닭)
겨울마다 오는 ‘물에 사는 닭’, 물닭 – 김완병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학예연구사(조류학 박사) 2007년 11월 중순 제주동중학교 아이들과 함께 하도리 철새도래지를…
-
제주의 용천수 이야기
기획시리즈> 제주의 용천수 이야기 제주의 용천수는 산물이라고도 불린다. 한라산에서 내려온 물이라는 뜻도 있을 수 있지만 살아있는 물이라는 말이 더 설득력이…
-
김완병의 제주의 새 이야기 : 제주 습지의 터줏대감, 왜가리
김완병의 제주의 새 이야기 : 제주 습지의 터줏대감, 왜가리 김완병(조류학 박사/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학예연구사) (제주시 봉성리 마을공동목장 습지 안에서 먹이를 찾고 있는…
-
9월 제주 연안습지 이야기
9월 제주 연안습지 이야기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올해 중점사업 중 하나로 제주의 연안보전운동을 하고 있습니다. 회원소모임인 생태조사 소모임이 매월 2회씩 포인트를 정하여…
-
2019 제주도 매립장 전수조사 결과 보고서
2019 제주도 매립장 전수조사 결과 보고서 입니다. (:
-
개발로 인해 위기에 처한 원앙
개발로 인해 위기에 처한 원앙 김완병(조류학 박사,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학예연구사) 원앙은 국내에서는 한라산내의 계곡이 최대 월동지로 매년 1,000여 마리가 제주를 찾는다. 낮에는…